한약을 잘 복용하는 법
약을 달이려면 무엇보다 약 달일 사람을 선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덕성이 있고 친해서 믿음직하며 성의껏 꾸준히 달일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둘째는 약탕관이다. 약탕관은 기름기나 때가 묻었거나 비린내나 누린내가 나는 것은 깨끗이 씻어 써야 한다. 다음은 사용할 물이다. 물은
단물이 제일 좋다. 물의 양을 어림하여 약한 불에 일정한 양이 되게 달여 약수건으로 걸러 맑은 약물만 먹는다.
약을 달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은이나 돌그릇을 쓰고 약한 불에 오랫동안 달여야 한다. 불을 너무 세게 해서는 안 된다. 땀나게 하는 약이나 설사시키는 약은 매번 불을 최고 세기의 10분의 8 정도 되게 달여 먹고 다른 병을 치료하는 약은 10분의 7 정도 되게 달여 먹는다. 보약은 10분의 6 정도 되게 달여 먹어야 한다. 지나치게 졸여도 안 되고 센불로 갑자기 달여도 안 된다. 그 이유는 약 기운이 약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약을 짜서 먹고 찌꺼기는 두었다가 다시 달여 먹어야 한다. 병이 머리에 있으면 술을 넣고 달이고, 습증을 치료할 때는 생강을 넣고 달이며, 원기를 보하려고 할 때는 대추를 넣고 달이고 풍한을 발산시키려고 할 때는 총백을 넣고 달이며 횡격막 위에 생긴 병을 치료할 때는 꿀을 넣고 달인다. 또한 약재 가운데 병을 주 치료하는 것을 먼저 달여야 한다. 즉 땀을 내야 할 때는 마황을 먼저 1∼2번 끓어오르게 달인 다음 다른 약재를 넣고 달여서 먹어야 한다는 것이고, 땀을 멈추어야 할 때는 먼저 계지를 달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화해를 시켜야 할 때에는 시호를, 풍에 상한 데는 방풍을, 더위에 상한 데는 향유를, 습에 상한 데에는 먼저 창출을 먼저 달여야 한다. 치료 부위에 따라 먹는 시간, 먹는 법, 달이는 방법이 다르다. 병이 횡격막 위에 있으면 밥 먹은 뒤에 약을 먹어야 하고 병이 명치 아래에 있으면 약을 먹은 다음 밥을 먹어야 한다. 병이 팔다리나 혈맥에 있으면 아침 빈속에 먹어야 하고 병이 골수에 있으면 밥을 배불리 먹은 다음날 밤에 약을 먹어야 한다. 상초는 하늘과 통하므로 이곳에 병이 있으면 약을 센불에 연하게 달여 천천히 먹는 것이 좋고, 하초는 땅과 통하므로 이곳에 병이 있으면 약을 약한 불에 진하게 달여 빨리 먹는 것이 좋다. 천천히 먹으면 약 기운이 상초에 퍼지고 많이 먹으면 하초를 세게 보한다. 그리고 신을 보하는 약은 반드시 새벽 4시경 말하기 전에 먹어야 한다. 대체로 신기는 새벽 4시경에 처음으로 발동하였다가 말을 하거나 기침을 뱉으면 곧 막힌다. 그러므로 약은 신기가 동할 때 조용히 먹어야 효과가 좋다. 약물의 성질에 따라 먹는 법이 다르다. 성질이 찬 약은 데워 먹어야 하고, 성질이 뜨거운 약은 차게 해서 먹어야 하며, 치우치지 않은 성질의 약은 따뜻하게 해서 먹어야 한다. 대체로 달인 약은 따뜻하거나 뜨겁게 해서 먹어야 잘 넘어간다. 차게 먹으면 구역질이 나면서 올라오는 수가 있다. 토하는 환자에게 약을 먹일 때는 머리를 써야 한다. 한 숟가락씩 떠서 천천히 먹이면 된다. 절대로 서두르지 말라. 어떤 약을 먹든지 적용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약을 먹을 때는 생고수나 마늘 등 여러 가지 생채소, 미끄러운 음식, 과실 등을 먹지 말아야 한다. 또한 돼지고기, 개고기, 기름진 것, 고깃국, 생선회와 비린내나 노린내 나는 것, 식초 등을 먹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약을 먹을 때는 죽은 사람이나 더러운 것을 보지 말아야 한다. 각 약물과 관련된 금기는 다음과 같다. |
'┌(ㆀ_ _)┐건강 > 건강을 위한 차(주법.음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술에 대한 궁금증 (0) | 2006.05.24 |
---|---|
술의 개념과 역사 (0) | 2006.05.24 |
술 한잔의 비밀…알고 마시자 (0) | 2006.05.24 |
동의보감 건강법 - 술 마신후 주의사항 (0) | 2006.05.24 |
빈혈과 사물탕 (0) | 2006.05.24 |
심장병 여성에 포도주 좋아 (0) | 2006.05.24 |
입냄새 제거에 요구르트가 효과적 !! (0) | 2006.05.24 |
바닷물은 왜 마실 수 없을까? (0) | 2006.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