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부-평장사공(平章事公) 파 평장사공(平章事公) 파 평장사공의 휘는 거, 자는 만상(晩祥), 호는 정암(靖菴)이며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시조 사공공(司空公)의 16세손으로 1174년(고려 명종 4)에 대장군 용부(勇夫)의 차남으로 전주 자만동에서 태어나, 1194년(고려 명종 24)에 문과에 급제하여 영가군사(永嘉郡事)에 제 수되었다. 1198.. Οо³°`선계 파시조/Οо³°`선계 파시조 2010.08.15
양무-주부공(主簿公) 파 주부공(主簿公) 파 시 조 사공공(司空公) 한(翰)으로부터 17세인 양무장군은 유배생활 등 파란곡절 속에서 천신만고로 성장했다. 이같이 세파를 두루 거치며 자란데다 무예가 뛰어나 장군(將軍 : 고려 때 정4품 무관직)이 되었다. 양무장군은 배위로 상장군(上將軍) 이강제(李康濟)의 딸을 맞이 하여 안사(安社) · 영필(英弼) · 영밀(英謐) · 영습(英襲) 등 4남을 두었으며 이 후 자손 이 크게 번창하였다. 안사는 목조대왕으로 추존되고 영습은 고려말에 위위주부동정(尉衛主簿同正)이라는 벼슬을 하여 바로 주부동정공파의 파조가 되었다. 주부공은 배위가 청주곽씨이며 전주에 살다가 목조대왕을 따라 삼척(三陟)으로 이사하였다. 공은 삼척에 살다가 그곳에서 영면하였다. 그 아들 지(芝)는 목조대왕을 따라 함경도로 이.. Οо³°`선계 파시조/Οо³°`선계 파시조 2010.08.15
궁진-시중공파(侍中公派) 시중공(侍中公派) 시중공파는 태조 이성계 이전에 분파했다. 이성계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고 선조일 뿐이다. 시중공(侍中公) 이단신(李端信)은 고려 명종 때의 명신이다. 시조 이한 의 14세손인 궁진(宮進) 한림공의 차남이며 대장군 용부(勇夫)의 동생이다. 시중공은 문하시중을 지냈으며, 후에 완산백.. Οо³°`선계 파시조/Οо³°`선계 파시조 2010.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