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운의 전령(행운의학)

무지개다리 올라가는 그날까지 행복의 문을 활짝 열어 꿈을 이루세요.

행운의 전령 자세히보기

Οо³°`제왕별 파시조/중종대왕

중종대왕-영양군(永陽君) 파

행운의 전령 2010. 8. 15. 16:59

영양군(永陽君) 파

영양군 거(? : 1521∼1561)는 중종대왕의 4남으로 창빈(昌嬪) 안씨 소생이다.

후사가 없어 성종대왕의 12남 무산군(茂山君)의 손자

흥녕군(興寧君) 수전(秀캿 : 1554∼1605)을 계자로 삼았다.

흥녕군은 풍해군(豊海君) 잠(캀 : 1585∼1648)과 풍릉수(豊陵守) 혼(混)을 낳고,

풍해군은 능산군(綾山君) 희(僖 : 1608∼1663), 능봉군(綾峯君) 칭(? : 1610∼1666), 능강수(綾岡守) 찬(? : 1614∼1675), 능평수(綾平守) 신(信 : 1616∼1635), 능안수(綾安守) 의(儀 : 1620∼1682),

능계수(綾溪守) 급(伋 : 1623∼1689), 능주도정(綾洲都正) 간(侃 : 1625∼1690)을 낳았고,

풍릉수는 금원령(錦原令) 탁(倬)과 금성령(錦城令) 척(倜)을 두었다.

이들 9형제의 후손들이 퍼져 오늘의 영양군파를 이루고 있다.
이들 중 흥녕군 · 풍해군 · 능봉군 3대에 얽힌 일화가 유명하다.


임진왜란이 일어나 선조대왕이 의주로 파천하고 광해군은 세자로서 조정을 나누어(分朝),

종묘의 신주를 모시고 갔다. 개성에 이르러 목청전(穆淸殿) 뜰에다 그 신주들을 묻고 갔다.

평안도 평산(平山)에 이르러 흥녕군이 말하기를 “신민(臣民)이 모두 종묘사직에 매어 있는데 사주를 파묻고 가는 것은 도저히 있을 수 없는 일이다.” 하며 윤두수(尹斗壽 : 1533∼1601)와 더불어 개성으로 달려가 모두 파 가지고 왔다. 그래서 호성공신(扈聖功臣) 3등에 책록되었으나 사양하고 받지 않았다.
그리고 그 아들 풍해군도 인조대왕이 이괄의 난으로 공주로 몽진했을 때 호성(扈聖)하고,

병자호란으로 남한산성에 들어갈 때도 호종하여 공훈에 책정되었으나 받지 않았다.
또 풍해군의 차남 능봉군은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청나라와 화의가 성립되자

자청해서 가짜 왕자로 꾸며 심양에 갔었으나 가짜 대신 심즙(沈? : 1569∼1644)이 탄로시켜 되돌아왔다.

그래서 영국공신(寧國功臣) 2등에 책록되었으나 받지 않았다.
그래서 세상에서 이들 3대를 두고 조자손(祖子孫) 3대가 훈록(勳錄)을 사양했다는 뜻으로

삼세사훈가(三世謝勳家)라 한다.


후손 중에는 문과급제로 영양군 7대손 성수(性遂 : 1718∼1775)는 대사간을 지냈고,

심전(心傳 : 1738∼1799)은 정언(正言)을 지냈는데 이들은 부자지간이다.

또 이조참의를 지낸 중번(重蕃 : 1629∼1688), 음사(蔭仕)로 현령 1명, 참봉 2명이 있다.

또 무과로는 영장(營將)을 지낸 하번(夏蕃 : 1648∼1709)과

방어사(防禦使)를 지낸 형번(亨蕃 : 1650∼1699)이 있다. 그리고 진사는 11명, 생원 1명이 있다.
<선원속보>를 만들 당시의 종손은 조응(祚應)이고,

문장(門長)은 순영(順永)이며 교정유사(校正有司)는 하용(河鎔)이었다.

 

영양군(永陽君) 파

항렬자 일람표입니다



시조
로부
터:世
선계·
제왕
시조:世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파조:代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8 세 중종
中宗
영양군
(永陽君)
종수 익전
宗遂 翼傳 ○永 穆○ ○應 載○ ○鎔 海○ ○柱 愚○ ○基 義○ ○雲 種○ ○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