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에 관련된 외래어>
* 디너 :
매일 일정한 시간에 먹는 저녁 식사는
dinner 이고, 바쁘게 보내다가 배가 고파 대충 먹는 식사를
supper라고 합니다.
* 카레라이스 :
이 말은 "커리 앤 롸이스 (curry and
rice)" 또는 "커륃 롸이스 (curried
rice)" 가 바른 말입니다.
* 오무라이스 :
오므라이스 는 "옴맅 롸이스 (omelette
rice)"가 옳은 영어입니다.
* 프림 : 커피에
프림을 넣는다는 말은 틀린 말입니다. 바른 영어는 "크림 (cream)"입니다.
* 돈까스 : 돈은
한자의 "돼지 돈"인데, 까스는 도대체 뭘까요? 모르겠어요. 어쨌든 돈까스는 "포크 커틀릿 (pork cutlet
)"입니다.
* 비후까스 :
이는 "비프 스테이크 (beef
steak)" 가 바른 영어입니다.
* 함박스텍 :
이는 "햄버거 스테이크 (hamburger
steak)"가 바른 영어입니다.
<자동차에 관련된
외래어>
* 카 센타 :
Car center? 이것은 한국식 영어인가 봅니다. 바른 말은 "바디샾 (body
shop)"입니다.]
* 핸들 :
자동차의 운전대를 가리키는 말인데 바른 영어는 "스티어링 휘일(steering wheel)"이랍니다.
* 백
미러 : 자동차의 거울을 가리키는 말일텐데 바른 영어는 "
뤼어뷰 미뤄 (rearview
mirror)"랍니다.
* 본네트 :
자동차의 엔진 뚜껑을 가리키는 말로 쓰고 있는데 바른 영어는 "후드(hood)"입니다.
* 크락숀 : 이는
자동차의 경적 소리를 말하는데 바른 영어는 "호온(horn)"이랍니다.
* 오토바이 :
Autobi라고요 ? 그런 영어는 없습니다. 바른 영어는 "모러싸이클 (motor cycle)"이랍니다.
* 빠꾸
: 뒤로 후진하는 것을 빠꾸 한다고 말하죠. 바른 영어는 "Back
up"입니다.
*오라이 :
후진하는 차량에 손짓하면서 "오라이"라고 말하더군요. 이는 영어의 "오롸잍 (All right)"을
잘못 발음한 것입니다.
* 윈도우 브러쉬
: 자동차의 앞 유리를 닦는 장치를 가리키는 한국인들의 영이랍니다. 올바른 영어는 "와이퍼
(wiper)"랍니다.
* 빵꾸
: 타이어가 빵꾸 났다. 빵꾸 난 타이어는 "플랫 타이어 (flat tire)"입니다. 그러므로 " I have [got] a flat
tire." 라고 해야 됩니다. 또한 빵꾸난 타어어를 때우는 것은 "fix a flat tire"입니다.
ex). I will
fix a flat tire.
<사랑과 관련된
외래어>
* 짝 사랑 :
한국인들은 one-side love 라는 엉터리 영어(broken English)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바른 영어는 "언뤼턴드 러브 (Unreturned
love) 또는 언뤼콰이티들 러브 (Unrequited
love)입니다.
* Girl friend /
Boy friend : 영어에서는 이성 친구든 동성 친구든 굳이 성별을 표시하지 않고 그냥 friend로 말합니다. 그들이 말하는
" girl friend / boy friend " 는 수시로 성관계를 가지며 지내는 이성 친구를 가리킵니다. 우리나라 학생들은 그런 경우가
거의 없죠. 그러므로 우리 한국 학생들의 정서에는 전혀 맞지 않는 말입니다. 굳이 "남자친구, 여자친구"라고 말하고 싶으면
"남자친구-메일후렌드 (male friend), 여자친구-휘메일후렌드(female friend)"로 하시길
바랍니다.
* 미팅 :
학생들이 상대방이 누구인지 모르면서 만나 데이트를 즐기는 것을 meeting이라고 말하는데 이에 대한 바른 영어은 "블라인드 데잍 (blind
date)입니다.
* 독신녀 : 이에 대한 바른 영어는 "셀러베잍 (celibate)"입니다. 결혼하기 전의 처녀와 총각은 각각 "처녀 :
버-진(virgin) / 총각 :배쳘러 (bachelor)
"입니다. 일단 사랑을 하게 되면 girl friend / boy friend가 되지요,
* 올드
미스 : 결혼을 안(못)한 나이 많은 처녀를 올드 미스라고 하는데 이에 대한 바른 영어는
"올드 메읻 (old
maid)"입니다.
* 저는 "쏠로(solo)"입니다. :
언제부터인가 우리나라 젊은이들이 "독신" 또는 "미혼상태"를 가리켜 "솔로 (solo)"라는 낱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안되는 말입니다. solo라고 함은 "혼자 노래를 부르는 것 = 독창"을 의미하는 것이지요. 이 경우에 대한 바른 말은 " 씽글
(single)" 이랍니다. 그러므로 여러분은 " 저는 single입니다.= I'm single." 라고 말해야 옳습니다. 참고로 "둘이 노래 부르는
것은 듀엣(duet)이고, 셋이서 노래를 부르는 것은 트리오(trio)"입니다.
<문구류에 관련된 외래어>
* 코팅
: 우리가 말하는 코팅은 중요한 인쇄물에 비닐을 입히는 것을 말하지요. 그러나 바른 영어는 "래머네이팅(laminating)"입니다.
" I'd like to laminate this."와 같이 말할 수 있겠지요. 또한 코팅하는 기계는
"래머네이터(laminator)"라고 합니다.
* 형광 펜 :
이는 "하이라이터(
highlighter)"가 옳은 영어입니다.
* 매직 펜 :
매직 펜은 상표 이름입니다. 영어로 하면 "마커 (marker)"가 옳은 영어입니다.
* 호치케스 :
이는 영어로 "스테이플러(stapler)"입니다. 호치키스 알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스테이플스(staples)"입니다.
* 스탠드 :
우리는 책상 위에 놓은 전등 불을 스탠드라고 합니다. 그러나 바른 영어는 "데스크 램프(desk
lamp)"입니다.
* 샤프펜슬 :
sharp pencil이라고요? 아닙니다. "미캐니컬 펜슬(mechanical pencil)"입니다.
* 스카치
테이프 : 바른 영어는 "어드히시브 테잎 (adhesive
tape)"입니다.
<옷에 관련된
외래어>
* 빤스 : 이
말은 우리들의 팬티를 가리킵니다. 이는 "언더웨어(underwear)"가 바른 말입니다. 또한 바지는
"팬스(pants)"입니다.
* 런닝 셔츠 :
미국인들은 우리들이 입는 "러닝 셔츠"를 입지 않습니다. 이는 그냥 "T-shirts"라고 말하면
됩니다.
* 팬티 스타킹 :
목이 긴 양말을 스타킹즈 (stockings)라고 합니다. 그러나 팬티 붙어있는 스타킹을 팬티 스타킹이라고 말하지는 않습니다. 바른 영어는
"패니호스(pantyhose)"입니다.
* 와이셔츠 :
이는 힌색 셔츠(white shirts)입니다. 그러나 미국인들은 그렇게 말하지 않고 "드레스 셔츠(dress
shirts)"라고 말합니다.
*
백넘버 : 운동선수들의 등에 있는 번호를 말하는데 바른 영어는 "유니폼 넘버 (Uniform
number) "입니다.
<기타
외래어>
* 핸드폰 : 손으로 들고 다니니까 핸드폰인가 봅니다. 그러나
그런 영어는 없습니다. 바른 영어는 "셀룰러
포운 (cellular phone)"입니다. 참고로 우리들이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무선 전화기는
"코들리스 포운 (cordless phone)"이라고 합니다.
* 삐삐 :
2-3년 전만 해도 많은 사람들이 호출기 (일명 삐삐)를 가지고 다녔는데 요즈음은 모두 셀룰러 포운으로 바뀌었더군요. 호출기의 바른 영어는
삐삐가 아니고 "페이져-
(pager)"랍니다.
* 비닐 봉투 :
우리 생각에 Vinyl bag 일 것 같으나 영미인들은 "플래스틱 백 (plastic bag)"이라고 합니다.
* 바캉스 :
피서를 가는 것을 바캉스를 간다고 하는데, 이렇게 여름에 더위를 피하는 것은 영어는 "써머링(summering)"이라고 합니다. 또한 휴가를 떠나는 것을 그냥 "holidays"
나 " vacation"이라고 합니다.
* 컨닝 : 시험을
치를 때 부정행위하는 것을 컨닝 한다고 말들 하죠. cunning은 "교활한"의 뜻을 가진 형용사입니다. 그렇다면 부정행위는 뭘까요?
그것은 "취이팅(cheating)"이 바른 말입니다.
* 아르바이트 :
우리나라에서 짬을 내어 부업을 하는 것을 아르바이트라고 하는데 바른 영어는 " 팥 - 타임 잡(part-time
job)"입니다. 이와 반대로 아침부터 저녁 시간까지 온종일 근무하는 것은 "풀 타임 잡 (full-time
job)"이라고 합니다.
*
엑기스 : 영양가 덩어리 알짜 진국을 가리키는 말인가 본데 어디서 생겨난 말인지 정체 불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올바른 영어
표현은 "익스츄랙트
(extract)" 또는 "에슨스( essence )"라고
해야 됩니다.
* 스톤 헤드 :
돌 머리를 stone head라고 할까요? 천만에요. 영어로는 "블락헤드 (blockhead)"라고 한답니다.
* 밴드 : 1회용
밴드, 많이 들어본 말이죠? 우리가 상처를 입었을 때 1회용 밴드를 사용하죠. 그런데 유감스럽게도 그 영어가 틀렸습니다. 그때의 바른 영어는
"밴드에이드 (band
aid)"입니다. 그럼 밴드 (band)는 정말로 뭘까요? 그것은 "띠"를 말합니다.
* 후루꾸 : 어떤
일을 할 때 엉터리로 하거나 요행을 바라면서 용기있게 도전하는 사람을 보면 우리들은 가끔 " 쟤는 완전히 후루꾸야."라고 말하죠. 이 후루꾸는
영어의 "훌루-욱
(fluke)"을 엉터리로 읽은 것이지요. 이 뜻은 "요행으로 들어 맞히기"라는
뜻이랍니다.
* 탈렌트 : 많은
학생들이 TV를 보면서 자신도 멋진 탈렌트가 되기를 은근히 바랄 것입니다. talent는 "재능"이란 뜻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들이 의미하는
바와는 아주 다르지요. 바른 영어는 " TV star"입니다.
영화배우가 "무비스타(movie star)"인 것을 보면 쉽게 알 수 있을 겁니다.
* 아이쇼핑 :
eye shopping 이라고요? 천만에요. 물건을 사지는 않고 진열창 안에 놓여진 상품만 구경하는 것. 그에 대한 바른 영어는 "윈도우 쇼핑 (window
shopping)"이랍니다.
* 쑈당 :
어른들이 화투(고스톱)를 칠 때 사용하는 말이지요. 바른 영어는 "쇼우 다운 (show
down)"입니다. 즉 내려 놓고 보여준다는 이야기랍니다.
*
콘센트 : 전기 기구를 꽃아 쓰는 벽에 박혀있는 "콘센트", 그러나 그것은 일본이 만들어낸 엉터리 영어입니다. 바른 영어는
" 아웃렡 (outlet)이랍니다.
그리고 이 outlet에 꽃아 쓰는 것이 "플러그 (plug)"입니다.
*
믹서(mixer) : 쥬스를 만드는 것은 mixer가 아니고 "블렌더 (blender)"라는
것은 아시겠지요?
* 애프터 서비스
: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말 중의 하나가 " After service"입니다. 그러나 이 말은 일본이 만들어낸 일본식 영어로서 영미인들은
사용하지 않는 단어입니다. 굳이 영어로 만들어 보자면 " After-sale
service"가 될 것입니다.
*
싸인해 주세요 : Sign 은 영어에서 " 서명하다, 신호하다"라는 뜻의 동사이거나 "표지판, 부호,
손짓"을 나타내는 명사입니다. 유명 인사에게 싸인을 해 달라고 부탁할 때는 다음과 같이 말해야 합니다. " Can I have your autograph,
please?" 여기에서 autograph은 " 자필 서명"을
말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