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삼 한 뿌리로 지키는 건강 인삼이 건강에 좋은 식품임은 누구나 알고 있다. 하지만 어디에 어떻게 좋은지 자세히 알고 있는지 인삼이 우리 몸에 어떻게 좋은지 알아보고 인삼의 효과를 제대로 보기 위 해 좀 더 효과적으로 먹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인삼 건강 생활법과함께 요즘 시판되고 있는 음료까지 만나본다. 1 간 기능 .. ┌(ㆀ_ _)┐건강/약초.꽃.민간요법·식물도감 2006.05.29
불로초,,민들레 조물조물 불로초 민들레 나물~~~^^ <민들레는 무엇인가?> ▶ 위염을 다스리고 암세포를 죽이며 간은 보호하고 머리카락 은 검게하는 민들레,우리 나라 천지에 깔려 있는것이 민들레이지만 사람들은 민들레가 그리 중요한 약재 인줄을 모르고 지낸다. 민들레는 우리나라에서뿐 아니라 중국,일본,인.. ┌(ㆀ_ _)┐건강/약초.꽃.민간요법·식물도감 2006.05.29
잔대 잔대 잔대싹 잔대꽃 잔대 (초롱꽃과) 산야의 풀밭에 자란다. 다년초로서 높이는 40~120cm이고, 뿌리가 굵으며 전체에 잔털이 있다.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원심형이며, 꽃이 필때쯤 되면 없어지고, 경생엽은 윤생 대생 또는 호생하며, 긴 타원형, 란상 타원형, 피침형 또는 넓은 선형이고, 길이 4~8cm, 폭 5~40m.. ┌(ㆀ_ _)┐건강/약초.꽃.민간요법·식물도감 2006.05.29
능소花의 유래 능소화의유래 옛날 옛날 복숭아 빛 같은 뺨에 자태가 고운 소화라는 어여쁜 궁녀가 있었답니다 임금의 눈에 띄어 하룻밤 사이 빈의 자리에 앉아 궁궐의 어느 곳에 처소가 마련되었으나 어찌된 일인지 임금은 그 이후로 소화의 처소에 한번도 찾아 오지를 않았어요. 소화가 여우같은 심성을 가졌더라.. ┌(ㆀ_ _)┐건강/약초.꽃.민간요법·식물도감 2006.05.29
수국(수국)이 이렇게 아름다운줄... 세이브(西武)선 전철을 타고 15분 쯤... '토시마엔(豊島園)'이라는 공원을 찾아갔습니다. 수국(水菊)... 어릴 적 집에 있던 수국화분에 붉은 잉크랑...파란잉크랑... 물에 타서 부우면 꽃 색이 변하던 기억이 있을 뿐... 무려 160 종에 4000여 그루의 수국이 피어 있다는 광고를 보고 간 것입니다. 그렇게나 많.. ┌(ㆀ_ _)┐건강/약초.꽃.민간요법·식물도감 2006.05.29
약용식물도감 약용 식물도감 1 ▣ 식물명 (학명) - 생약명 ▣ 가중나무 (Ailanthus altissima Swingle) - 저근백피 ▣ 감국 (Chrysanthemum indicum Linne) - 감국 ▣ 감나무 (Diospyros kaki Thunberg) - 시체 ▣ 감초 (Glycyrrhiza uralensis Fisch.) - 감초 ▣ 개대황 (Rumex longiflius DC.) - 직수산모 ▣ 개맨드라미 (Celosia argentea Linne) - 청상자 ▣ 개머루 (Ampe.. ┌(ㆀ_ _)┐건강/약초.꽃.민간요법·식물도감 2006.05.29
선인장에 숨은 비밀이~ 선인장에 숨은 비밀이~ 선인장은 본디 사막이나 더운 열대지방이 원산지인 식물이다. 선인장에는 종류가 꽤 많아서 세계적으로 1만 종이 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우리 나라에서도 수백 종류를 관상용으로 더러 가꾸고 있다. 우리 나라에도 자생하는 선인장이 있다. 제주도의 바닷가 모래밭이나 바.. ┌(ㆀ_ _)┐건강/약초.꽃.민간요법·식물도감 2006.05.29
차,배멀미 예방 나들이 기회가 많은 요즘, 차멀미에 좋은 민간 요법을 소개 드립니다. 평소 차멀미를 하는 분은 차나 배를 탈 때 솔잎을 씹으면 차멀미를 하지 않습니다. 알로에 잎을 5cm 정도 잘라서 조금씩 씹어도 차멀미가 멎고요, 레몬의 끝에 3개 정도의 구멍을 뚫고 빨대를 꽂아서 빨면 차멀미나 뱃멀미를 하지 않.. ┌(ㆀ_ _)┐건강/약초.꽃.민간요법·식물도감 2006.05.29
양 귀 비 양귀비(아네모네)꽃 양 귀 비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양귀비과의 두해살이풀. 원산지 : 지중해 연안 또는 소아시아 크기 : 높이 50∼150cm 앵속·약담배·아편꽃이라고도 한다. 지중해 연안 또는 소아시아가 원산지이다. 줄기는 털이 없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가 50∼150cm이다. 잎은 어긋 나고 .. ┌(ㆀ_ _)┐건강/약초.꽃.민간요법·식물도감 2006.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