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조대왕-안천대군(安川大君) 파 안천대군(安川大君) 파 안천대군(? ∼ 1274)은 휘가 어선(於仙)이고, 아버지 목조대왕과 어머니 효공왕후 평창이씨 사이에 장남으로 출생하여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활기동에서 성장하였다. 고려 때 문과 급제하여 낭서(郎署)를 지내고 아버지 목조대왕이 덕원으로 옮겨와 고려 때에 벼슬하여 선주(宣州.. Οо³°`제왕별 파시조/목조대왕 2010.08.15
목조대왕-안원대군(安原大君) 파 안원대군(安原大君) 파 안원대군은 목조대왕의 차남이며, 휘는 진(珍), 자는 국서(國瑞),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중국 원나라의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선무장군(宣武將軍)이 되어, 금주병마도총독(錦州兵馬都總督)을 지냈다. 배위는 부부인(府夫人) 평산신씨(平山申氏)이며 슬하에 2남을 두었다. .. Οо³°`제왕별 파시조/목조대왕 2010.08.15
목조대왕-안풍대군(安豊大君) 파 안풍대군(安豊大君) 파 안풍대군의 휘는 정(精)이며 목조대왕의 제3남으로 효공왕후 평창이씨의 소생이다. 관직은 1872년(고종 9)에 가선대부 영종정경에 추봉되었다. 대군은 부왕을 따라 삼척에서 적전(赤田 : 함경남도 덕원, 현재 원산시에 편입)으로 이거 하였다. 당시 관북지방의 동북면에는 원나라 .. Οо³°`제왕별 파시조/목조대왕 2010.08.15
목조대왕-안창대군(安昌大君) 파 안창대군(安昌大君) 파 안창대군의 휘는 매불(梅拂)이고,목조대왕의 제5남으로서 효공왕후 평창이씨에게서 탄생 하였다. 고려 때에 출사하여 벼슬이 행 예빈시 직장(行禮賓寺直長)이었다. 조선 개국 후에는 정의대부(正義大夫) 호조전서(戶曹典書)에 증직되었다. 또한 1872년(고종 9) 7월 16일에 영희전(.. Οо³°`제왕별 파시조/목조대왕 2010.08.15
목조대왕-안흥대군(安興大君) 파 안흥대군(安興大君) 파 안흥대군의 휘는 구수(球壽)요 목조대왕의 제6남이며 어머니는 효공왕후 평창이씨이다. 자헌대부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1872년(고종 9)에 대군(大君)과 영종정경부사(領宗正卿府事)에 추봉(追封)되었다. 그리고 자 · 손 · 증손 4세(世)에게도 군으로 습봉(襲封)되었다. 배위는 청.. Οо³°`제왕별 파시조/목조대왕 2010.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