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림군(茂林君) 파
무림군은 정종대왕의 막내 아들인 15남으로 휘는 선생(善生)이다.
군은 배위 남양홍씨와의 사이에서 2남 4녀를 두었다.
장남은 명천도정이요 차남은 신평도정이다.
명천도정은 외아들 마용부수를 두고 이 마용부수가 신은령 · 운계령 · 웅산령 · 흥덕감 등
네 아들을 두었는데 신은령과 흥덕감은 후손이 없다.
차남 신평도정은 보은수 · 연산수 · 예산수 세 아들을 두었는데, 보은수는 외아들 황산수를 두었고,
둘째 아들 연산수는 흥류부수 · 송산도정 · 학림부수 · 봉릉부수 · 운암부수 · 운봉부수의 여섯 아들을 두었다. 이중 흥류부수와 학림부수는 후사가 없다.
신평도정의 3남 예산수는 외아들 영해부수를
두었으나 후사가 없었다.
결국 무림군 후손들은 운계령 · 웅산령 · 황산수 · 송산도정 · 봉릉부수 · 운암부수 · 운봉부수의
후손만이 번창해 왔는데, 무과출신이 많이 배출되었다.
또한 문과 학자도 많이 배출했는데 문과(대과)출신 3명, 소과 생원 9명, 진사 11명이며,
무과 68명, 음관(蔭官) 25명, 통제사 4명, 병마사 4명, 금위장 3명, 부사(府使) 6명, 참판 7명,
판서로서 형조판서 4명, 공조판서 3명, 병조판서 2명, 승지 15명 등이다.
무관으로 출세한 이는 상전(尙썮) · 경무(敬懋) · 광익(光益) · 상집(尙쏯) · 종승(鍾承) · 종관(鍾觀) ·
규철(圭徹) · 종건(鍾健) · 병무(秉武)가 유명하다.그러나 이에 못지 않게
덕무(德懋)와 규경(圭景)의 조손(祖孫)이 배출됨으로써 학자집안으로도 유명하게 되었다.
덕무는 정조 때 류득공(柳得恭) · 서이수(徐理修) · 박제가(朴齊家)와 더불어
사검서(四檢書) 중의 한 사람으로서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의 저자로 유명하다.
그의 손자 규경은 우리 나라 백과사전의 본보기인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의 작자로 유명 하다.
이 책은 둘다 민족문화추진위원회에 의해 완역되었다.
이외에도 운암부수의 후손 중 문과 급제자 3명이 배출되었다.
* 무림군(茂林君) 파의 항렬자 일람표입니다
시조 로부 터:世 |
선계· 제왕 |
시조:世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파조:代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
23 세 | 정종 定宗 |
무림군 (茂林君) |
규 | 종 | 한 | 병 | 묵 | 기 | 호 | 해 | 근 | 희 | 균 | 용 | 택 | 동 | 훈 |
圭○ | 鍾○ | ○漢 | 秉○ | ○默 | 基○ | ○鎬 | 海○ | ○根 | 熙○ | ○均 | 鎔○ | 澤○ | 東○ | ○勳 |
'Οо³°`제왕별 파시조 > 정종대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종대왕-수도군(守道君) 파 (0) | 2010.08.15 |
---|---|
정종대왕-임언군(林堰君) 파 (0) | 2010.08.15 |
정종대왕-석보군(石保君) 파 (0) | 2010.08.15 |
정종대왕-덕천군(德泉君) 파 (0) | 2010.08.15 |
정종대왕-임성군(任城君) 파 (0) | 2010.08.15 |
정종대왕-도평군(桃平君) 파 (0) | 2010.08.15 |
정종대왕-장천군(長川君) 파 (0) | 2010.08.15 |
정종대왕-정석군(貞石君) 파 (0) | 2010.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