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운의 전령(행운의학)

무지개다리 올라가는 그날까지 행복의 문을 활짝 열어 꿈을 이루세요.

행운의 전령 자세히보기

...:*:♥♡♥:*:..애국가/大韓帝國 愛國歌

부르지 못한 노래-대한제국 애국가

행운의 전령 2010. 7. 25. 13:08

대한제국 애국가입니다. 독립군들도 이 노래를 불렀다죠.

 

 

상뎨(上帝)는 우리 황뎨(皇帝)를 도으사

셩슈무강(聖壽無疆)하사

해옥듀(海屋籌)를 산(山)갓치 싸으시고

위권(威權)이 환영(寰瀛)에 뜰치사

오쳔만셰(於千萬歲)에 복녹(福祿)이

일신(日新)케 하소셔

상뎨(上帝)는 우리 황뎨(皇帝)를 도으소셔

 ♪. 팝페라 카스트라토 정세훈의 대한제국 애국가

 

우리나라 최초의 공식國歌

1902년 8월15일 대한제국 정부에의해 공식 제정,공포되었다.

 ㄴ>프란츠 에케르트(Franz Eckert .1852.4.5~1916.8.6)

 

상제(上帝)는 우리대한을 도우소서~

대한제국 애국가는 대한제국의 국가였다.
독일 제 2제국의 해군소속 음악가였던 프란츠 에케르트가

고종황제의 명을 받고 작곡했으며 본래 군가로 지어진 것이다.
그 경위에 대해서는 민영환이 대한제국애국가발문에서 잘 설명하고 있다.
1902년 정식 국가로 지정되며 프란츠 에케르트는 국가를 작곡한 공로로 훈장을 수여받고

 대한제국 황립 군악대장을 겸임하게 된다.

그러나 1910년 한일병합으로 일본의 국가 기미가요가 공식국가가 되면서

이 곡은 금지곡이 되었다.
그 후 1945년 해방과 6.25 전쟁을 동시에 겪으며 1948년 38선을 기준으로

대한민국과 조선 민주주의 인민공화국으로 
분단된 상황에서 결국  대한제국의 국가는 또다시 버림을 받게 된다.
대한제국 애국가가 채택이 안된 이유는

프란츠 에케르트가 일본국가인 "기미가요"도 작곡했다는 이유에서였다

 

대한제국 애국가는 몇 차레의 가사 변화가 있었다.

1904년 황성신문에 실린 애국가 가사인

" 상제는 우리나라를 도으소셔.

영원 무궁토록 나라 태평고." 는 이전의 "상제는 우리나라를 도으소서.

성수무강샤"와 비교했을때  다소 달라졌음을 알수 있다.

아마도 1905년 을사조약 이후 백성들 사이에서 애국가가 불려지며 

가사가 조금씩 변이된 것으로 보인다.

그후 1910년 부터 해방전까지는 스코틀랜드 민요 곡조에

동해물과 백두산..." 부터 " 이 긔(기)상과 이 맘으로...까지" 의 가사를 붙인 윤치호 작사의 애국가가 독립운동가들 사이에서 널리 불려졌다.

그리고 현행 안익태씨의 애국가까지 전해 내려오는데,

현재의 가사를 보면 " 하느님의 보우하사 우리나라 만세" 라는 구절이 나온다.

여기서 상제란 하늘에 계신 가장 높으신 분,

곧 하나님을 뜻하는 말로서 우리의 옛말임을 간주할때

 대한제국 애국가는 안익태씨의 애국가로 이어지며 그 정신은 변하지 않았음을 알수 있다.

구한말 100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민중들 사이에서 상제라는 단어가 대중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이는 우리 민족이 예로부터 신교의 전통속에서

상제님을 받들며 신앙해온 민족임을 알려주는 문서자료가 된다. 

제사문화가 가장 발달한 곳이 우리나라라는 사실,

우리가 시조로 받드는 단군이 곧 제사장이였다는 것만 보더라도 알 수 있다.

근래에 우리 민족문화의 한 가운데에 있었던 상제님이 생소하게 된데에는

해방 이후 서양문물의 갑작스런 유입과 그에 대한 문화사대주의가 뿌리박히면서

상제님이 하느님이라는 단어로 불리고 있는 것은 아닐까.

1897년부터 1910년까지 불과 십년동안 단명했던 대한제국. 

그러나 대한제국의 유물과 흔적을 살필때

우리는 어쩌면 잃어버린 민족문화의 뿌리와 혼을 발견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희망이 든다.

 

하와이에서 발견된 대한제국애국가 악보

-1925년 하와이 호놀룰루에 있는 한미클럽 발행-

 가사

대한제국 애국가는 몇 차례의 가사 변화가 있었다.

[편집] 첫 번째 가사

한문 표기 고전 한글 표기 현대 한글 표기
上帝保佑皇帝聖上
聖壽無疆
海屋籌山
威權瀛廣
于千萬歲
福祿無窮
上帝保佑皇帝聖上
상뎨(上帝)는 우리 황뎨를 도으ᄉᆞ
셩슈무강(聖壽無疆)ᄒᆞᄉᆞ
ᄒᆡ옥듀(海屋籌)를 산(山)갓치 ᄡᆞ으시고
위권(威權)이 환영(環瀛)에 ᄯᅳᆯ치사
오쳔만셰(於千萬歲)에 복녹(福祿)이
일신(日新)케 ᄒᆞ소셔
상뎨(上帝)는 우리 황뎨(皇帝)를 도우소셔
하느님은 우리 황제를 도우사.
만수무강하사
큰 수명의 수를 산같이 쌓으시고.
위엄과 권세를 천하에 떨치사
오천만세에 기쁨과 즐거움이
날로 세롭게 하소서
하느님은 우리 황제를 도우소서

 

[편집] 두 번째 가사

당시 한국어 현대 한국어
상뎨(上帝)난 우리 황뎨(皇帝)를 도으소셔
셩슈무강(聖壽無疆)ㅎᆞ샤
ᄒᆞㅣ옥듀(海屋籌)를 산(山)갓치 ㅆᆞ으소셔
위권(威權)이 환영(環瀛)에 떨치샤
오쳔만셰(於千萬歲)에 무궁(無窮)케 ᄒᆞ소셔
상뎨(上帝)는 우리 황뎨(皇帝)를 도으소셔
하느님은 우리 황제를 도우소서
만수무강하사
큰 수명의 수를 산 같이 쌓으소서
위엄과 권세를 천하에 떨치사
오천만세에 무궁케 하소서
하느님은 우리 황제를 도우소서

 

[편집] 1925년 한미클럽악보가사

당시 한국어 현대 한국어
상뎨(上帝)는 우리 나라를 도으소셔
영원무궁토록
나라태평ᄒᆞ고 인민(人民)은 안락ᄒᆞ야
위권(威權)이 셰샹에 떨치여
독립자유부강을
일신(一信)케ᄒᆞ소서
상뎨(上帝)는 우리 나라를 도으소셔
상제(하느님)은 우리나라를 도우소서
영원 무궁토록
나라 태평하고 인민은 안락하야
위권(위엄 과 권세)이 세상에 떨치여
독립자유부강 을
(一信)일신 케 하소서
하느님은 우리 나라를 도우소서

 

이는 한일병합조약이전에 하와이로 간 우리나라 사람들 중에서,

악보나 멜로디를 기억하는 사람들이 불렀었던 노래이다.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총무처 직원(1940.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