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공(侍中公派)
시중공파는 태조 이성계 이전에 분파했다.
이성계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고 선조일 뿐이다.
시중공(侍中公) 이단신(李端信)은 고려 명종 때의 명신이다.
시조 이한 의 14세손인 궁진(宮進) 한림공의 차남이며 대장군 용부(勇夫)의 동생이다.
시중공은 문하시중을 지냈으며, 후에 완산백에 봉해졌다.
부인은 김해김씨다. 생졸 연대와 묘소는 실전되었다.
전북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 3가 마전(馬田)에 묘당(廟堂)을 건립하고 제향을 지내고 있다.
시중공파의 파계는 시중공의 8세손에서 4개 지파로 분파된다.
시중공의 장남인 문하시랑평장사공의 후손은 황강공파와 문정공파(文正公派) 의 2개 지파로 나뉜다.
차남인 상서령공의 후손은 문하평리공파, 문헌공파로 분파되었다.
21세인 황강(黃崗)의 자는 문정(文挺)이다.
1330년 고려 충숙왕 때 문과로 발탁되어 정당문학, 예문관 대제학, 춘추관 성균관사, 상호군 등의 벼슬에 추대되었다. 훗날 벼슬을 사임하고 한 칸의 초옥에 살며 스스로 문학대(文學臺)라 불렀다.
1781년 전주시 효자동 마전부락의 추탄공 묘소 아래에
서원을 중건하여 양후공, 추탄공, 정간공, 금곡공, 강졸암공, 유죽계공 등과 함께 배향되었다.
1824년 문학대가 마전 발산 옛터에 중건됐다.
묘는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 이성리 산에 있다. 부인은 청송심씨다.
28세 목사공 수 는 성종 17년(1486년)에 생원 진사 양시에 급제,
사과(司果) 성균관 전적(典籍)에 올랐다.
연산군 때 동생 정간공(貞簡公) 목(穆)이 갑자사화(1504년)를 입자
고향 전주로 내려와 후학을 가르쳤다.
4개 지파 중 평리공파를 제외하고 총 7,773세대, 약 24,800여 명이 있다.
전북에 가장 많다. 파종회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3동에 있다.
* 시중공(侍中公) 파의 항렬자 일람표입니다
시 조 世 |
선계 | 시조:世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제왕 | 파조:代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
14 세 | 궁진 宮進 |
시중공 (侍中公) |
진 | 덕린 | 부 | 춘완 | 림 | 호 | 근 | 병 | 증 | 진 | 순 | 영 | - | - | - |
震 | 德麟 | (文+武) | 春完 | 琳 | ○浩 | ○根 | 炳○ | ○增 | ○鎭 | 淳○ | ○榮 | - | - | - |
'Οо³°`선계 파시조 > Οо³°`선계 파시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부-평장사공(平章事公) 파 (0) | 2010.08.15 |
---|---|
양무-주부공(主簿公) 파 (0) | 2010.08.15 |